경제 기초

[BOK자료분석] 2023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및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분석(1) - 한국은행 기준금리 향방

투자하는 엔지니어 2022. 12. 24. 10:26

안녕하세요.

 

한국은행에서 업로드하는 자료 중에는 꽤 유용한 자료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2022.12.23일자로 업로드된 "2023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과 12월 8일자로 업로드된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를 하는 사람으로써, 해당 보고서의 내용 중 관심이 있는 것은 아래의  3가지이기에 이들 위주로 포스팅을 나눠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향방

2) 한국은행이 바라본 한국 부동산 현황

3) 한국은행이 바라본 2023 세계 경기 향방(인플레이션 및 GDP성장률, 경기회복시점 등)

 

1. 한국은행 기준금리 향방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출처.통화신용정책보고서 12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의 기준금리 항목에는 10월과 11월의 기준금리 인상의 이유 및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상 이유 인상 영향
10월 인상. 50bp 높은 물가오름세 + 환율방어 목적 1) 수출 증가세 둔화
2) 물가상승세 여전히 강했음(환율원인)
3) 외인 투자자금 순유출
11월 인상. 25bp 1) 물가 둔화 목적
2) 환율 리스크 약화
3) 경기둔화 커질 것으로 예상됨
1) 수출 증가세 둔화(글로벌 정세 영향 큼)
2) 경기둔화폭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3) 근원 물가항목 상승(전기/가스요금)
4) PF-ABCP 금리 큰 폭 상승(신용경계)
5) 환율변동성 확대(연준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영향+중국 방역정책에 따른 위안화 영향)

추가로 한국은행에서는 현재 일종의 양적완화와 같은 정책을 함으로써 자금시장 경색을 해소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 9월의 3조원 규모 국고채 매입 및 통화안정증권 1.5조원 규모 발행 축소입니다.

(통화안정증권은 발행되는 만큼 유동성이 흡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정리하자면 현재 한국은행은 물가 둔화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시키지만, 경기둔화를 더욱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안"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서 한은은 아래와 같은 기준금리 운용방안을 밝힙니다.

1. 물가상승률 목표 2.0%를 바탕으로 기준금리 인상
2. 높은 경기 불확실성에 유의하여 운용

현재 한국은행이 예상하는 2023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5%이며, 근원 물가는 2% 후반입니다.

한은이 추구하는 목표와 거의 가까워졌네요.

 

또한 한은은 경기 불확실성에 많은 신경을 쓰며, 실제로 양적완화와 비슷한 정책도 시행했습니다.

즉, 최종금리 도달이 가까워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폭은 25bp일 것이고, 현재 3.25%임을 감안하면 높아봐야 3.75%일 것으로 보이며, 1~2회 인상을 끝으로 금리인상은 마무리 지을 것으로 보입니다.

 

즉, 내년 초에는 금리인상이 끝난다는 것이죠.


인플레이션에 대한 한국은행의 입장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나온 물가상방압력 원인으로는 노동시장이 나옵니다.

출처. 통화신용정책보고서(12월)

구인배율과 정액임금, 소비자물가를 함께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이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미연준이 보고 있는 노동시장에 관해 설명하였던 내용과 같은 것입니다.

 

 

FED 금리인상 전략과 그에 따른 시장 반응 분석

안녕하세요. 한동안 바빠서 글을 못쓰다가,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보는 사람이 적은 블로그이긴 해도, 저 혼자 정리하는 용도라도 틈틈히 글을 쓰려했는데 귀차니즘이 글을 못쓰게 했

bbodaemakeslife.tistory.com

 

참고로, 현재 미국의 구인배율은 1.7으로 한 사람당 1.7개의 일자리를 갖고 있다는 뜻이며, 그만큼 임금 상승폭이 커지면서 임금 인플레이션이 높다는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출처. FRED

한국은행 및 FED 모두 높은 임금인상률을 인플레이션 상방압력으로 보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국은행이 바라본 한국부동산 현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