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회화공부

영어회화표현 3

투자하는 엔지니어 2023. 1. 8. 23:10
  • It's nothing to worry about: 걱정안해도 돼.

It's nothing to~ : ~하지 않아도 돼 / ~할 거 없어.

ex) It's nothing to fret about: 신경 쓸 거 없어.

It's nothing to fuss about: 호들갑 떨 거 없어.

It's nothing: 아무 것도 아냐.

  • I'll see what I can do: 한번 확인해 드릴게요.

어떠한 문의를 받았을 때, 알아봐주겠다는 늬앙스로 정말정말정말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 I'll see what I can do about ~ : ~에 대해 뭘 할지 알아볼게요.

ex) I'll see what I can do do about your contract: 너의 계약에 대해 뭘 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 What a drag! : 아휴, 귀찮아!

'drag'는 '끌다'는 뜻으로써 무언가 질질 끄는 것, 따분한 것으로 구어체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ex 1)

A: I heard he is gonna teach us history this year again

B: What a drag!

A: 올해 또 그 쌤이 우리 역사 수업 맡으신대.

B: 아, 정말 지루해!

ex 2)

A: I answer the phone for eight hours a day.

B: Oh, what a drag, huh?

A: 저는 하루에 8시간 동안 전화를 받아요.

B: 헐 따분하겠네.

  • suppertime: 저녁 식사시간
  • good grief: 아이고, 맙소사

ex) good grief! what a mess!: 아이고, 엉망진창이네!

  • He's bound to have missed me: 분명 내가 보고 싶을 거야.

"be bound to V"는 '반드시 ~할 것이다'라는 뜻으로, 확신에 찬 의견을 말할 때 사용한다.

- I guess/I suppose: (불확실한 경우) ~인거 같아.

- I think: (7~80% 확실한 경우) ~라고 생각해.

- be bound to: (100% 확실한 경우) 반드시 ~할거야.

ex) As a human being, I'm bound to die eventually. 사람인 이상 나는 결국엔 반드시 죽게 되겠지.

  • I hope whoever took it can do it better than I could: 누가 가져갔는진 몰라도 나보다 더 잘했으면 좋겠다.

whoever took it이 주어로 쓰였다. 이렇듯 생각보다 다양한 형태가 주어로 쓰일 수 있다.

  • However, we regret that it does not suit our present needs: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저희의 현 요구 사항에 맞지 않습니다.

'regret'은 '후회하다'는 뜻 말고도, '유감이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I'm sorry to say~"보다 훨씬 격식있는 말투로, 비즈니스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메일에서 정중하게 거절할 때 사용하기 좋다.

ex 1) I regret that I cannot attend the year-end party. 유감스럽지만 저는 송년회에 참석할 수 없습니다.

ex 2) I regret to tell you that you have failed this hiring process: 당신에게 이런 말을 해서 유감스럽지만, 당신은 채용에서 탈락하셨습니다.

  • But now, you're going too far! 그런데 이건 도가 지나치잖아!

'go too far'을 직역하면 '너무 멀리가다'이다. 직역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은유적으로 '도가 지나치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ex 1) Don't talk like that. you go too far. 그렇게 말하지마 선넘었어.

ex 2) I also think I should help other people, but you go too far! 나도 다른 사람들 도와야한다고 생각해, 그런데 넌 지나치잖아!

  • what's wrong with wanting to be served by a beautiful waitress? 예쁜 여종업원이 갖다주길 바라는 게 뭐 어때서?

what's wrong with ~: 무엇이 잘못됬어? 약간 뻔뻔하게? 따져묻는 듯한 느낌이다.

with은 전치사이기에 뒤에 명사나 동명사 형태가 와야한다.

정말로 무슨 문제인지 묻기 위해서는 with을 빼고, "what's wrong?"이나 아니면 "what's the matter?"을 써야한다.

  • you'll make a good teacher. 너는 좋은 선생님이 될거야.

make는 만들다 외에도 정말 많은 뜻을 갖고 있다. make 뒤에 신분이나 직업이 오면 '(발달/성장해서) ~가 되다'는 뜻을 갖게 된다. become과 같은 뜻! 실생활에서 자주 쓰인다.

ex) you'd make a good teacher. 너는 좋은 선생님이 될 수 있을거야.

 

cf) will은 확신을 갖고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쓰고, would는 약간의 추측/가정을 갖고 있을 때 사용한다.

ex) That would be Emma on the phone. 전화받는 사람 엠마일거야.

같은 뜻으로 "I suppose Emma is on that phone. 그 전화 받는거 엠마일거야."가 있다.

'영어회화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회화공부 6  (2) 2023.01.23
영어회화공부 5  (0) 2023.01.14
영어회화표현 4  (0) 2023.01.11
영어회화 표현 2  (2) 2023.01.07
영어회화 표현 1  (0)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