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은 크게 2가지 분야로 나뉜다. 하나는 미시경제학, 또 하나는 거시경제학이다.
미시경제학은 가계와 기업 등 미시경제주체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시장 전체의 수요/공급을 분석하고 경제를 설명한다.
개개의 경제주체가 주체적으로 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전제로 개별 시장에서 각 산업 간 관련성을 설명하는 것이 미시경제학이다.
거시경제학은 물가, 인플레이션, 실업률, GDP, 경제성장 등 국민경제 전체의 움직임에 관심을 기울인다.
아래 내용은 앞으로 포스팅할 내용들을 간추린 것이다.
미시 경제학의 주요 이론 1. 소비자 이론: 소비자가 자신의 기호와 제한된 제한된 예산을 갖고 각종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구매결정을 어떻게 하는지,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과정, 서로 다른 재화에 대한 수요 특성 등에 대한 학문이다. 2. 생산자 이론: 기업이 비용을 절감하는 생산량을 결정하는 과정, 자본과 노동의 균형점, 각 생산요소의 투자 비중 등을 고려한 기업의 '항상비용'을 최적화하는 과정에 대한 학문이다.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구매결정 과정과 비슷하다) 3. 산업조직론: 기업 활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시장의 행태에 대해 분석하는 학문으로, 완전경쟁시장부터 과점 및 독점, 게임이론 등을 공부할 것이다. 4. 공공경제학: 미시경제학의 도구를 갖고 정부 정책에 따른 미시적 차원의 경제효과에 대해 공부한다. 시장실패, 외부효과의 내부화, 코즈의 정리 그리고 공공재에 대해 공부할 것이다. 5. 정보경제학: 경제주체 간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벌어지는 현상에 대해 공부한다.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시장실패, 도덕적해이, 역선택 등에 대해 공부한다. |
거시경제학의 주요 이론 1. 경제성장론: GDP의 정의, 케인스경제학, 실질적인 국민소득 증가,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 성장모델과 성장의 수렴 등에 대해 공부한다. 2. 경기변동론: 고용과 노동시장, 물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경기순환론을 바탕으로 정책 지연에 대한 영향과 정치와 경제의 관계, 정부의 크기와 경제성장률에 대해 공부할 예정이다. 3. 경제정책론: 거시경제주체의 행동, 정부의 존재 및 역할, 재정정책, 승수효과, 공채 발행, IS-LM 분석 등 재정정책에 대해 공부한다. 4. 화폐금융론: 화폐의 역할, 본원통화, 신용창출, 중앙은행의 역할 등 화폐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고 국제수지와 환율, 원화강세와 원화 약세, 무역 이익 등에 대해서도 공부할 것이다. |

'경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기초] 통화량과 통화승수, 지급준비율 (4) | 2022.10.03 |
---|---|
[레이달리오]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HOW THE ECONOMIC MACHINE WORKS) (0) | 2022.09.26 |
[경제학 사전지식]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기회비용 (0) | 2022.07.31 |
[경제학 사전지식]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희소성과 가격 (0) | 2022.07.31 |
[경제학 사전지식]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경제학의 기본가정 (0) | 2022.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