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초

[경제학 사전지식]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경제학의 기본가정

투자하는 엔지니어 2022. 7. 31. 12:26

안녕하세요.

 

이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저는 경제학 전공이 아니라는 점을 우선 밝힙니다.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했고, 현재 자동차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사람으로 경제학에 대한 지식이 다소 부족하여

포스팅 내용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밝힙니다.

경제공부 포스팅을 하는 이유는 오롯이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하는 것입니다.

모쪼록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많은 것을 얻어가면 좋겠지만, 내용 이해에 부족한 점이 있을 수도 있으니 비판적인 사고를 갖고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비난 X)

 

경제학이란?

 

다양한 조직(가계,기업,정부 등 경제주체)이 시장에서 재화, 서비스와 돈을 서로 교환하는 행동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는 학문

 

경제학의 기본 가정

1. 경제 주체는 경제활동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있다.

- 예를 들어, A는 사과를 사러 마트에 가는데, 전자매장을 가진 않을 것이다.

 

2. 경제주체는 여러 목적에 대한 중요성을 이해하고,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다.

- 마트1은 걸어서 10분거리, 마트2는 차로 1시간 거리에 있다.

- 마트1은 사과가 700원, 마트2는 사과가 500원이다.

 

3. 경제주체는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

- A는 사과 가격이 500원으로 더 저렴하지만, 1시간동안 이동해서 마트2로 가진 않을 것이다.

- "낮은 사과가격"과 "시간/기름값"을 고려하여 가장 경제적인 선택인 마트1을 택한 것이다.

 

 

배울 점

경제주체는 "경제적 유인"에 따라서 행동을 결정한다.

- "가격"이라는 경제적 유인과 "시간/기름값"이라는 경제적 유인 사이에 "시간/기름값"이 더 크게 작용했다.

- 야근 수당이 없다면 근로자는 의욕적으로 야근을 하지 않을 것이다.

- 정부가 TV가격을 강제로 100원에 팔라고 법으로 강요해도 기업 입장에서 채산성이 맞지 않으면 그러지 않을 것이다.

- 경제주체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경제적 유인이 필요하다.

 

출처. 클립아트 코리아